위챗 창시자 장샤오롱의 4시간 강의 기록 : 6. 읽기(阅读, 위에두), AI(인공지능)

원문 링크 : 2019년 1월 9일 위챗 공개 강의에서 텐센트 위챗사업부 총재 장샤오룽(张小龙)의 4시간 강의 기록

위챗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채팅 앱입니다. 매일 10억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이 앱은 채팅 앱이면서 동시에 채팅 앱이 아닙니다. 위챗은 스스로를 10억 사용자의 생활 방식이라고 말합니다. 어떻게 위챗이 단순 채팅 앱에 그치지 않고 10억 인의 삶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는지 그리고 현재의 위챗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미래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위챗의 아버지라 불리는 위챗의 창시자 장샤오룽의 4시간 강의를 통해 그 비결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은 장샤오룽의 4시간 강의를 요약, 번역한 글로 총 7회에 걸쳐 연재될 예정입니다.

서두. 희망이 가장 소중하다.
1. 좋은 서비스란 무엇인가?
2. 위챗의 시작
3. 위챗의 동력
4. 미니프로그램(小程序, 샤오청쉬)
5. 공식계정(公众号, 공중하오), 모멘트(朋友圈, 펑요우췐), 타임캡슐(视频动态, 스핀동타이)
6. 읽기(阅读, 위에두), AI(인공지능)
7. 위챗페이, 기업위챗(企业微信, 치예웨이신)

IMG_0169

1. 읽기(阅读, 위에두)

읽기는 매우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그러나 대중을 상대로 한 읽기 서비스는 쉽지 않은데 그 이유는 사람의 본성이 무엇인가를 읽거나 학습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QQ 메일 서비스에 ‘읽기공간(阅读空间, 위에두콩지엔)’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괜찮은 서비스라고 생각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단지 소수의 사람들만이 이용했습니다. 당시의 생각이 이어져 모멘트는 출시 때부터 다른 앱에 있는 글들을 모멘트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는데 최근 몇 년간 글을 읽는 비율이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사실 모멘트는 글을 읽는 곳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생활을 보여주고 사회적인 나를 알리는 곳입니다. 보통 모멘트에서의 일 체류시간은 30분 정도 되는데 친구들이 올린 일상 사진들을 보다가 글을 읽기 위해 잠시 중단하기보다는 보통 글은 건너뛰고 읽지 않게 됩니다. 사실 글을 읽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고정 시간 확보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모멘트가 아닌 새로운 진입점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모멘트 외부에 읽기 그룹을 새롭게 만들었는데 이것이 ‘머리기사(看一看, 칸이칸)’ 입니다.

‘머리기사’는 ‘Wow(好看, 하오칸)’와 ‘Top(精选, 징슈엔)’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전자는 소셜 추천이고 후자는 기계 추천이었습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기계 추천을 테스트 해왔는데 결과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았습니다. 회의에서는 콘텐츠의 질을 낮추고 저변을 확대하든지 아니면 소수를 위한 서비스로 집중하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기계 추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고 있는 것을 그대로 추천하는 방식인데 이렇게 되면 건강식품에 심하게 중독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계속적으로 건강식품을 추천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소셜 추천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 사회 속에서 사람이 교류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과 가장 일치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스스로 주도적으로 정보를 획득하기보다는 주변 사람들의 추천을 통해서 정보를 얻고 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도 최근 2,3년간 읽은 책들은 모두 친구들의 추천을 통해서였습니다. 또한 영화를 선택할 때도 보통은 나의 판단보다는 주변에서 재미있다고 추천한 영화를 보게 됩니다.

소셜 추천의 또 하나의 흥미로운 점은 편항되어 있지 않고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체계라는 것입니다. 기계 추천의 경우에는 나의 특정 방면을 끊임없이 강화시키는 방향으로만 나아갑니다. 계속해서 한 방향으로만 나의 인지를 강화시켜 점점 더 편향된 면만을 신뢰하도록 하여 나중에는 돌아오기 어렵게 합니다. 그러나 소셜 추천은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만약에 내가 편향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면 사회적 관계를 통해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이것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사회적 관계의 강력한 힘이고 시스템이 됩니다.

그래서 읽기 서비스의 대중화는 소셜 추천을 기반으로 할 때 비로소 기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때의 읽기 서비스는 단순한 읽기가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사교의 연장선에 있게 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추천을 할 때 단순히 내용만 좋아서 추천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캐릭터를 강화시킬 수 있는 글들을 추천하게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소셜 추천은 본질적으로는 모멘트의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친구가 추천한 글들이 본인의 관심이나 생각과 매우 다를 때 그 친구를 차단하지는 않을까 걱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친구의 추천이 아니었다면 아예 접하지 않았을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친구가 추천했기 때문에 한 번은 가서 클릭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당신의 흥미를 끌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나의 틀을 깰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다양한 계층, 다양한 지역, 다양한 사람들의 시각을 볼 수 있는 창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머리기사’는 올해 우리가 집중할 영역 중의 하나입니다. 우리의 수억 명의 사용자들이 매일 일상적으로 소셜 추천을 통해 접하는 다양한 글들을 읽게 되기를 바랍니다.

IMG_0170

2. AI(인공지능)

AI는 지난 몇 년간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우리도 AI 기술에 주목해 왔는데 예를 들어 여러분이 ‘타임캡슐’ 동영상을 찍어 올릴 때 AI가 추천한 배경음악 중에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은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데 왜냐하면 길을 찍은 동영상이라고 해서 배경음악으로 굳이 길에 관련된 음악이 나올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틀에 박힌 것이 나올 수밖에 없고 사람에게는 상상력이 있어서 길을 보면서 다양한 이미지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대학에 다닐때만 해도 AI가 바둑에서 인간을 이기기는 매우 어려울것이라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알파고가 바둑에서 인간을 이기는 것을 보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당시 AI가 우리 서비스에서도 사용되게 되면서 AI가 우리에게 무엇을 가져올지에 대해서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미래의 의사는 AI로 대체될 것이라고 합니다. AI는 수많은 질병 관련 사례와 데이터들을 수집,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간이 얼마나 많은 책을 읽고 얼마나 오랫동안 임상을 해왔든 진단과 치료에 있어 AI에 대항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알파고와 바둑 대국을 할 때 알파고는 왜 수를 여기에 두었는지 우리에게 알려주지 않습니다. 만약 AI 의사가 어떤 약을 우리에게 권하면 우리는 그 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데 이 때 우리는 무슨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우리는 AI가 인류를 위한 도구라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인류가 오히려 AI의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어느 날 AI에 문제가 생겨서 모든 AI 의사가 인류에게 치명적인 약을 먹게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어쩌면 이런 일이 가능해질 수도 있습니다.

만약 AI를 이용해 만든 도구들이 사람을 지휘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이전의 전통적인 도구의 개념을 벗어나게 됩니다. 우리가 이전에 생각했던 도구란 사람의 통제 하에 있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AI가 강력해지면 AI 의사가 어떤 약을 먹을지를 알려주듯이 다른 AI는 어떤 운동을 해야 더 건강해질지를 알려줄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어떤 친구와 사귈지 또는 어떤 사람과 결혼하는 것이 좋을지를 알려줄 수도 있습니다. 아마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최근에 구글 직원들이 연대해 군에 AI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반대해 결국 적용하지 않기로 한 일이 있었습니다. 아마도 구글 직원들에게는 어떤 방면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어떤 방면에 적용하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많은 고민들이 있었으리라 생각됩니다.

아마도 누군가는 이런 일들이 실제 우리가 하고 있는 일과 무슨 관련이 있냐고 질문할 수도 있고 우리가 왜 우리 서비스 이외의 것들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저는 구글의 직원들이 군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을 반대했듯이 우리도 우리가 하고 일이 실제 어떤 의미가 있고, 그 이면에서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사용자에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되돌아 봐야 할 일입니다.

때때로 우리가 사용자를 생각할 때 마치 그들은 우리와 같은 부류의 사람이 아닌 별개처럼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일깨워야 하는 것은 우리 자신이 바로 그 사용자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용자들에게 적용하는 일들은 모두 우리 자신에게 적용되어지는 일들입니다. 우리가 사용자에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되돌아 봐야 할 일입니다.


Popit은 페이스북 댓글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로그인 후 글을 보시면 댓글이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