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ktop 및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다양한 OS와 브라우저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때, 내가 운영하는 웹서버에 들어오는 사람들은 무슨 기기로 접속을 하는 것일까? 혹여 특정 OS의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안되는 버그를 잡기 위해 몇일밤을 고생하며 겨우 수정했는데… 과연 그 OS의 브라우저에서는 접속은 하기나 하는걸까? (ㅠㅠ) 만약, 접속 사용자의 Device 정보를 알고있다면 고생하며 버그를 잡기 전에 먼저 해당 Device 사용율을 […]
최근에는 개발을 할때 단순히 기능만 동작하는 코드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읽기 좋은 코드, 유지보수하기 좋은 코드 등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이를 위해 코드 리뷰 등을 통해 동료 개발자들이 직접 검토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형화된 패턴에 대해서는 소스 코드를 분석해주는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코드 정적 분석이라고 한다. 코드 정적분석이라 함은 실제 프로그램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