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로 만드는 간단한 Blog Site - ( 1편 )
- Prologue
안녕하세요. IntelliJ + Spring MVC 글을 썼었던 김대희입니다.
이번에는 Cloud Service , Web Hosting을 이용해 본 저의 경험 및 공부했던 이론에 대해 설명드리고, 그 이후 Azure를 이용한 저의 Portfoilo Site 구축 과정 및 소스에 대해 설명을 드리는 글입니다. 설명할 블로그는 친구와 함께 대학교 4학년때 만들었던 것인데, 현재는 저 혼자 이 사이트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의 구조는 Azure + .Net + XML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블로그이며, 현재도 계속 관리하고 있습니다. Azure를 쓰지 않았던 분들도 한번 이런식으로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들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 적는 연재글입니다.
- 목차
- Cloud Service / Web Hosting ( 1편 )
- Azure Blog Site - 실전편 (1) ( 2편 )
- Azure Blog Site - 실전편 (2) ( 3편 )
- Azure Blog Site - 실전편 (3) ( 4편 )
- 1편에 들어가기 전
2,3,4편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이며, 1편은 2~4편을 적기 전
제가 공부한 배경지식 및 이론에 대한 설명입니다. 혹시 틀리거나 이상한 부분이 있다면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
Azure는 Cloud Service 이며, Web Hosting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더 많은 좋은 글들이 있지만, 간단하게 나마 아시면 좋지 않을까 해서 이 글의 1편을 쓰게 되었습니다.
- Web Hosting
Web Hosting ( 웹 호스팅 ) 이란 호스팅 서비스의 일종입니다. 제가 설명할 것은 Server Hosting ( 서버 호스팅 ) 이나 더 큰 Web Hosting이 아닌, 작은 단위의 Web Hosting을 말합니다.
즉 Web Hosting 업체 ( ex) 카페24, 가비아 등 .. ) 의 서버 공간의 일부를 대여해 주어 웹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내가 간단한 포트폴리오 사이트나 단순한 블로그를 만들고 싶을때, 직접 서버를 세팅해야 되거나 공유기를 이용한 PORT 포워딩 작업 , 도메인 구입 등의 작업이 번거로울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호스팅 업체를 이용하여 서버의 일부의 자원을 활용하여 편하게 소스를 올리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업체마다 다르지만 보통은 도메인 또한 제공하며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통해 파일 업로딩을 할 수 있게 해주며, 경우에 따라 SSL 등의 서비스를 지원해 줍니다.
FileZila처럼 해당 소스를 올리고 삭제하고 등을 조절 할 수 있게 해당 FTP 주소 등을 보통 알려줍니다. 또한 Putty 등을 통해 서버를 켜고 끈다거나 IIS 환경을 제공하여 서버를 쉽게 끄고 켤 수 있습니다. 해당 Web Hosting을 직접 이용해 본 후기로는, 쉽게 포트폴리오 및 서버를 관리하고 이용 할 수 있지만 , 서버 관리 권한이 없기 때문에 직접 서버를 관리할 수 없다는 점과 사용량이 제한되는 점이 아쉬운 점이라는 것입니다.
-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 클라우드 컴퓨팅 ) 이란, 웹 서버를 직접 구축하는 것이 아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 베이스등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간단하게 액세스 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 ex) AWS, Azure 등 ) , 이러한 클라우딩 컴퓨터는 서버 호스팅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필요하게 쉽게 축소 / 확장이 가능하며, 또한 서버 호스팅 비용과 다르게 가변적으로 ( 예를 들면 아래 그림처럼 서비스가 잘 되어서 서버 확장이 필요할때는 서버를 늘렸다가, 안될때는 축소를 한다던가 ..) 쉽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Web Hosting vs Cloud Computing
결국 Web Hosting은 이미 서버 환경은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자신이 편하게 소스를 올리거나 작은 트래픽, 적은 비용이 필요한 경우에 서버 설정 없이 편하게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Cloud Computing은 서버 환경 또한 사용자가 정할 수 있으며, 서버 호스팅보다 쉽게 리소스 및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버 등을 자유롭게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각자의 IT 인프라를 구축 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2편에서 다룰 것
이번 편은 Azure로 만들 간단한 블로그 사이트를 하기 전, 우리가 만들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 간단하게 소개를 하고 싶어서 간단하게만 이론을 적게 되었습니다. 더 많은 이론은 AWS, Azure의 공식 사이트를 통해 Iaas, Paas 등의 상세한 개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2편에서는 실제로 Azure를 시작하는 법과 리소스 세팅 등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질문 문의
- 개인적인 질문은 anyozcall@gmail.com 으로 Email 부탁드립니다.